황사 행동요령

이전페이지 홈으로 전체메뉴
  • 가정
  • 교육기관
  • 농가
  • 어르신 보호시설
  • 의료기관
  • 건설현장
  • 사업장 및 산업시설

미세먼지/초미세먼지란 무엇일까요?11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 입자로 입자크기에 따라 직경 1000분의 10㎜보다 작은 먼지를 미세먼지(PM10), 직경 1000분의 2.5㎜보다 작은 먼지를 초미세먼지(PM-2.5)라고 하며 머리카락 직경(약 60㎛)의 1/20∼1/30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미지

닫기

(초)미세먼지가 나쁨, 매우나쁨 시 어떻게해야 하나요?

(초)미세먼지가 나쁠 때는

- 임산부, 영유아, 어린이, 노인, 심뇌혈관질환, 호흡기질환이 있는 사람 등 미세먼지 민감군은 무리한 실외 활동을 자제하세요.

- 일반인은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을 줄이세요.

(초)미세먼지가 매우 나쁠 때는

- 임산부, 영유아, 어린이, 노인, 심뇌혈관질환, 호흡기질환이 있는 사람 등 미세먼지 민감군은 무리한 실외 활동을 삼가세요.

- 일반인은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자제하세요.

닫기

보건용 마스크란?

미세먼지 행동요령에서 보건용 마스크란 KF등급이 있는 마스크를 말하는 것으로 KF등급 수치가 높을수록 미세먼지 분진이 많이 걸러짐을 의미합니다.

닫기

수분 섭취 권고량은 어떻게 되나요?

수분 섭취 권고량
연령 1일 총 수분 섭취 권장량 (L/일)
남 여
0~5개월 0.7 0.7
6~11개월 0.7 0.8
1~2세 1.1 1.1
3~5세 1.5 1.5
6~8세 1.8 1.7
9~11세 2.1 1.9
12~14세 2.3 2.0
15~18세 2.6 2.0
19~29세 2.6 2.1
30~49세 2.5 2.0
50~64세 2.2 1.9
65세 이상 2.1 1.8
임산부 +0.2
수유부 +0.7

※출처 : 한국영양학회

닫기

증상 발생시 대처요령은 무엇인가요?

가벼운 눈물, 콧물 등의 증상은 대중요법 등으로 치료하세요.

흡기 및 심혈관질환,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치료하세요.

미세먼지가 비교적 자주 발생하는 봄, 가을에는 비상약을 구비하여 증상 악화 시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준비하세요.

닫기

미세먼지도 면역이 되나요?

미세먼지에 의해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질환은 악화되지만, 지속 노출이 된다고 면역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노출 될 때마다 건강영향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기저질환이 있다면 평소에 잘 치료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닫기

마스크 착용 시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보건용 마스크는 미세먼지가 나쁠 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호흡이 힘들어지거나 가슴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벗고 무리해서 착용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 또는 재사용하거나, 수건이나 휴지를 덧대어 변형하여 착용하면 필터의 성능이 떨어지고 공기가 샐 수 있으므로 사용법에 따라 올바르게 착용해 주세요.

닫기

미세먼지가 높은 날에는 항상 실내에서만 운동을 해야하나요?

운동과 같은 적극적인 신체활동은 건강에 도움을 주지만 고농도 미세먼지에 노출된 환경에서 신체활동을 하게 되면 동시 먼지 흡입으로 인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동반합니다.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는 실외 운동을 자제하고 실내에서 강도를 낮추어 가볍게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닫기

대로변은 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가요?

넓은 도로는 화물차를 비롯한 여러 차량 통행량이 많습니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노후된 경유차가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닫기

환기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대기가 정체되어 있는 시간대를 피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 사이에 하루 3번 30분 정도 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기 시 창을 통해 실내로 들어온 공기가 나갈 수 있도록 맞은편 창도 열어 환기하세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에도 자연환기가 필요하며 보조적으로 헤파필터가 있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세요.

※헤파필터란?

미세입자를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공기 필터입니다.

닫기

조리 시 환기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구이, 튀김류 요리를 자제하세요.

요리 시 주방 레인지 후드나 환기 팬을 켜서 국소 환기하여 오염물질이 실내 확산되는 것을 줄여 주세요.

요리과정에서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가 빠지도록 요리 후에도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해야 합니다.

닫기

실내공기질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먼지를 줄이기 위해선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청소 시 상대적으로 먼지를 덜 일으키는 물걸레 청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헤파필터가 장착되지 않은 진공청소기 사용 시 순간적으로 미세먼지 다량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겨울철 실내습도는 40-60%로 유지하세요.

닫기
Go to Page top Share Sns

공유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페이스북
  • 트위터 트위터
  • 문자메세지 문자메세지
  • URL 복사 URL 복사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Home
위치설정 Setting 레이어 닫기
my 측정소
  • 시도별 대기현황
  • 오늘/내일/모레 대기정보
  • 대기질 주의보/경보 현황
  • 미세먼지 세부 측정정보
  • 연도별 황사발생현황
  • 대기정보통합지도(GIS)
  • 대기환경 기준
  • 오존 행동요령
  • 미세먼지 행동요령
  • 황사 행동요령
  • 대기환경 월간/연간 보고서
  • 환경위성영상
  • 도로 재비산먼지 지도
  • 공지사항
Airkorea 홈페이지 바로가기